케이블 트레이 공사의 시설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전선은 연피케이블, 알루미늄피 케이블 등 난연성 케이블을 사용하고 금속관 혹은 합성수지관 등에 넣은 절연전선을 사용한다.
둘째. 저압 케이블과 고압이나 특고압 케이블은 동일 케이블 트레이에 동시 시설하면 안 된다. 다만 케이블트레이 내에 불연성의 격벽을 시설하는 경우, 금속 외장 케이블인 경우 케이블 트레이 내에 동시 시설이 가능하다.
셋째. 수평으로 설치된 케이블트레이에 케이블을 시설할 때 케이블의 완성품 바깥지름의 합계는 트레이의 내측 폭 이하로 하며 단층(1단)으로 시설해야 한다.
넷째. 둘째의 경우 벽면과의 간격은 20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다섯째. 수직 트레이에 케이블을 시설할 때 케이블의 지름의 합계는 트레이의 내측 폭 이하로 하고 단층(1단)으로 시설해야 한다.
여섯째. 다섯째의 경우 가장 굵은 케이블의 바깥지름의 0.3배 이상 이격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케이블 트레이의 선정 조건으로는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케이블 트레이의 안전율은 1.5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둘째. 전선의 피복 등을 훼손할 있는 돌기 등이 없이 매끈해야 한다.
셋째. 금속제의 것은 방식처리를 하거나 내식성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넷째. 비금속제 케이블 트레이는 난연성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다섯째. 금속제 케이블 트레이는 기계적,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하며 접지공사를 해야한다.
여섯째. 방화구획의 벽, 마루, 천장 등을 케이블 트레이가 관통하는 경우의 관통부는 불연성의 물질로 충전하여야 한다.
케이블 공사의 시설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저압 옥내 배선의 경우)
첫째. 전선은 케이블 및 캡타이어 케이블 일 것.
둘째. 전선을 조영재의 아래쪽 또는 옆쪽을 따라 붙이는 경우 전선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케이블의 경우 2m 이하로 하고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곳에서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 6m 이하로 시설하고 캡타이어 케이블은 1m 이하로 시설한다.
수직케이블의 시설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 전선을 건조물의 전기 배선용의 파이프 샤프트 속에 수직으로 매달아 시설하는 저압 옥내배선의 경우
첫째. 비닐외장케이블, 클로로프렌외장케이블을 사용하며 도체가 동으로 된 경우 공칭 단면적은 25㎟ 이상을 사용한다.
둘째. 비닐외장케이블, 클로로프렌외장케이블을 사용하며 도체가 알루미늄으로 된 경우 공칭 단면적은 35㎟ 이상을 사용한다.
셋째. 강심 알루미늄 도체 케이블, 수직조가용선 부(付) 케이블을 사용한다.
넷째. 철선 개장 케이블을 사용한다.
다섯째. 전선 및 그 지지 부분의 안전율은 4 이상이어야 한다.
여섯째. 전선 및 그 지지 부분은 충전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시설 해야한다.
일곱째. 전선과의 분기 부분에 시설하는 분기선은 케이블을 사용한다.
여덟째. 분기선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시설하며 전선과의 분기부분에는 진동 방지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애자 공사의 시설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전선은 절연전선(옥외용 비닐 절연전선, 인입용 비닐 절연전선은 제외)을사용한다.
둘째. 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하는 경우 그 관통 부위의 전선을 각각의 전선마다 별개의 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절연관에 넣어서 시설한다. 다만, 사용전압이 150V 이하인 전선을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관통하는 부분의 전선에 내구성이 있는 절연 테이프를 감을 때에는 제외한다.
셋째. 애자 공사 중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 전선간 상호 간격은 아래의 표를 적용한다.
전 압 | 전선과 조영재와의 이격거리 | 전선 상호 간격 | 전선 지지점간의 거리 | ||
조영재의 윗면, 옆면에 시설하는 경우 | 조영재에 따라 시설하지 않는 경우 | ||||
저 압 |
400V 이하 | 2.5cm 이상 | 6cm 이상 | 2m 이하 | - |
400V 초과 | 건조한 장소 2.5cm 이상 | 6m 이하 | |||
기타의 장소 4.5cm 이상 |
버스덕트공사의 시설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버스덕트를 조영재에 붙이는 경우 덕트의 지지점 간의 거리를 3m이하로하고 수직으로 붙이는 경우 6m 이하로 시설할 것.
둘째. 버스덕트의 끝부분은 막을 것. (환기형은 제외)
셋째. 버스덕트의 내부에 먼지가 침입하지 않도록 할 것. (환기형은 제외)
넷째. 버스덕트는 접지공사를 할 것.
다섯째.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옥외용 버스덕트를 사용해야 하며 버스덕트 내부에 물이 침입하여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할 것.
버스덕트의 선정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도체의 단면적 20㎟ 이상의 띠 모양, 지름 5mm 이상의 관모양, 둥글고 긴 막대 모양의 동 또는 단면적 30㎟ 이상의 띠 모양의 알루미늄을 사용한 것.
둘째. 도체 지지물은 절연성과 난연성, 내수성이 있고 견고할 것.
셋째. 버스덕트의 두께는 아래의 표 이상의 강판 또는 알루미늄판으로 견고히 제작할 것.
덕트의 최대 폭[mm] | 덕트의 판 두께[mm] | ||
강판 | 알루미늄판 | 합성수지판 | |
150 이하 | 1.0 | 1.6 | 2.5 |
150 초과 300 이하 | 1.4 | 2.0 | 5.0 |
300 초과 500 이하 | 1.6 | 2.3 | - |
500 초과 700 이하 | 2.0 | 2.9 | - |
700 초과 | 2.3 | 3.2 | - |
라이팅 덕트 공사의 시설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라이팅덕트는 조영재에 견고하게 붙일 것.
둘째. 라이팅덕트의 지지점 간 거리는 2m 이하로 할 것.
셋째. 라이팅덕트의 끝부분은 막을 것.
넷째. 라이팅덕트의 개구부는 아래로 향하여 시설할 것. 다만,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서 덕트의 내부에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시설하는 경우에는 옆으로 향하여 시설할 수 있다.
다섯째. 라이팅덕트를 관통하여 시설하지 않을 것.
여섯째. 라이팅덕트를 사람이 용이하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할 것.
'전기설비 기술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설비 기술기준 [저압전기설비Ⅵ] (0) | 2024.12.30 |
---|---|
전기설비 기술기준 [저압전기설비Ⅴ] (0) | 2024.12.29 |
전기설비 기술기준 [저압전기설비Ⅱ] (0) | 2024.12.25 |
전기설비 기술기준[저압전기설비] (1) | 2024.12.24 |
전기설비 기술기준 - [접지시스템Ⅱ] (0) | 202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