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 기술기준

전기설비 기술기준 [저압전기설비Ⅱ]

온바이셀 2024. 12. 25. 02:00

배선설비의 회로를 구성할 시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이 한다.

첫째. 하나의 회로도체는 다른 다심케이블, 다른 전선관, 다른 케이블덕팅시스템, 다른케이블드렁킹 시스템을 통해 배선하여서는 안된다.

둘째. 여러개의 주회로에 공통 중성선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도체와 기기간 접속은 다음과 같은 성능이 있어야 한다.

첫째. 내구성이 좋을 것.

둘째. 전기적 연속성을 갖출 것.

셋째. 적절한 기계적강도 그리고 보호성능을 가지고 있을 것.

 

교류회로 중 강자성체(강제금속관 등) 내부에 설치하는 교류 회로는 보호도체를 포함하여 각 회로의 모든 도체를 동일한 외함에 수납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즉 하나의 기기에 접속하는 전선은 하나의 관 또는 덕트 등의 내부를 통해 배선하여야 한다.)

강선외장, 강대외장 단심 케이블은 교류 회로에 사용하면 안되고 이러한 경우 알루미늄 외장을 권장한다.

 

전기설비와 다른 타 설비와의 이격거리는 다음과 같이 한다.

첫째. 애자사용 공사의 경우 시설하는 저압 옥내배선과 다른 저압 옥내배선, 약전류전선, 수관, 가스관, 관등회로(방전등용 안정기로부터 방전관까지의 전로)의 배선 사이의 이격거리는 절연전선의 경우 0.1m 이상으로 하고 나전선은 0.3m 이상 이격하여야 한다.

둘째. 지중 통신케이블과 지중 전력케이블이 교차하거나 접근하는 경우 이격거리는 0.1m 이상으로 한다.

셋째. 저압 지중전선과 지중약전류 전선이 접근 또는 교차하는경우 이격거리가 0.3m 이하인 경우 견고한 내화성 격벽을 시설하여야 한다.

넷째. 전력량계와 개폐기, 가스계량기 및 가스관의 이음부는 이격거리 0.6m 이상으로 한다.

다섯째. 가스계량기와 점멸기 또는 접속기의 이격거리는 0.3m 이상으로 한다.

여섯째. 가스관의 이음부와 점멸기 또는 접속기의 이격거리는 0.15m 이상으로 한다.

 

*합성수지관이란 합성수지로 만든 관으로 PVC, PP, PE, ABS 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콤바인 덕트관이 있다.

합성수지관공사의 시설 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전선은 절연전선을 사용한다.(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은 제외)

둘째. 전선은 연선을 사용한다. (짧고 가는 합성수지관에 넣거나 단면적 10㎟[알루미늄은 단면적 16㎟ 이하]이하의 경우 제외)

셋째. 전선은 합성수지관 내에서 접속점이 없어야 한다. (전선과 전선의 접속점)

넷째. 중량물의 압력과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시설해야 한다.

 

합성수지관의 부속품의 시설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합성수지관과 합성수지관 및 PVC 박스와는 관을 삽입하는 깊이를 관의 바깥지름의 1.2배로 하고 꽂음 접속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할 것. (관과 관은 보통 커플링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관과 박스는 박스에 포함된 커넥터 부분과 접속한다.) 단 관을 삽입하는 부위를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관의 바깥지름의 0.8배 이상으로 접속한다. 

둘째. 합성수지관의 지지점 간 거리는 1.5m 이하로 하며 박스와 관, 관과 관이 접속하는 부위에 견고하게 지지할 것.

셋째. 습기가 많은 장소나 물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방습장치를 할 것.(콘크리트 매입하여 시설하는 보통의 경우 박스내에서 우레판 폼 등으로 충진하여 방습한다.)

넷째. 콤바인 덕트관(CD관)은 직접 콘크리트에 매입하거나 옥내 전개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이외에는 불연성 마감재 내부나 전용의 불연성 관 또는 덕트에 넣어서 시설한다.

다섯째. 이중천장과 반자속 내에는 합성수지관 공사를 할 수 없다.

 

금속관공사의 시설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전선은 절연전선을사용한다.(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은 제외)

둘째. 전선은 연선을 사용한다. (짧고 가는 합성수지관에 넣거나 단면적 10㎟[알루미늄은 단면적 16㎟ 이하]이하의 경우 제외)

셋째. 전선은 금속관 안에서 접속점이 없어야 한다. (전선과 전선의 접속점)

 

금속관의 부속품은 다음의 것을 적용한다.

금속관의 방폭형 부속품의 경우

첫째. 건식아연도금법에 의한 아연도금을 하고 그 위에 투명한 도료를 칠하거나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강 또는 가단주철을 사용한다.

둘째. 부속품의 내부 및 끝부분은 전선을 배선하거나 교체할 때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 것 사용한다.

셋째. 전선관의 접속부분의 나사는 5턱 이상(나사를 5번 이상 회전)조여서 나사의 결합이 완전할 수 있는 길이 일 것.

 

금속관의 두께의 경우

첫째.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것은 1.2mm 이상의 두께를 사용한다.

둘째. 이외의 경우 1mm 이상의 두께를 사용한다.

셋째. 이음매가 없는 길이 4m 이하인 것을 건조하며 전개된 곳에 시설하는 경우 0.5mm 이상의 두께를 사용한다.

 

금속관 및 부속품의 시설조건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관의 끝 부분에는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부싱을 사용할 것.

둘째. 금속관으로 부터 애자공사로 옮겨지는 경우 관의 끝부분에 절연부싱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사용한다.

셋째. 습기가 많은 장소나 물기가 있는 장소의 경우 방습장치를 할 것. 

넷째. 금속관에 접지공사를 할 것. [관의 길이가 4m 이하이며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와 옥내 배선의 사용전압이 직류 300V 이거나 교류 대지 전압 150V 이하 일 때 전선을 넣는 관의 길이가 8m 이하이고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으며 건조한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 접지공사 제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