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설비 기술기준

전기설비 기술기준 [저압전기설비Ⅷ]

온바이셀 2025. 1. 7. 22:54

소세력 회로는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전자개폐기의 조작 회로 또는 초인벨, 경보벨 등에 접속하는 전로로서 최대 사용전압이 60V 이하인 것.

첫째. 사용전압은 소세력 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절연변압기의 사용전압은 대지전압 300V 이하로 하여야 한다.

둘째. 전원장치는 소세력 회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는 절연변압기 이어야 한다.

셋째. 절연변압기의 2차 단락전류는 소세력 회로의 최대사용전압에 따라 아래표 에서 정한 값 이하일 것.

소세력 회로의 최대 사용전압의 구분 2차 단락전류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
15V 이하 8A 5A
15V 초과 30V 이하 5A 3A
30V 초과 60V 이하 3A 1.5A

 

소세력 회로의 배선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소세력 회로의 전선을 조영재에 붙여 시설하는 경우 전선은 케이블(통신용 케이블을 포함한다.)인 경우 이외에는 공칭단면적 1㎟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 일 것.

둘째. 전선은 코드 캡타이어 케이블 또는 케이블 일 것.

 

소세력 회로의 전선을 지중에 시설하는 경우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전선을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견고한 관, 트라프 기타의 방호장치에 넣어서 시설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설깊이를 0.3m(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는 1.2m) 이상으로 한다.

둘째. 전선은 450/750V 일반용 단심 비닐 절연전선, 캡타이어 케이블 (외장이 천연고무혼합물의 것은 제외한다) 또는 케이블을 사용할 것.

 

소세력 회로의 전선을 가공으로 시설하는 경우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전선은 절연전선 및 캡타이어 케이블 또는 케이블을 사용할 것.

둘째. 전선은 인장강도 508 N/㎟ 이상의 것 또는 지름 1.2mm의 경동선일 것.

셋째. 전선에 나전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전선과 식물과의 이격거리를 0.3m 이상 유지할 것.

넷째. 전선의 지지점간의 거리는 15m 이하일 것.

 

전기부식방지 회로의 전압 외의 시설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양극은 지중에 매설하거나 수중에서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는 곳에 시설할 것.

둘째. 전기부식방지 회로의 사용전압은 직류 60V 이하일 것.

셋째. 지중에 매설하는 양극의 매설깊이는 0.75m 이상일 것.

넷째. 수중에 시설하는 양극과 그 주위 1m 이내의 거리에 있는 임의점과의 사이의 전위차는 10V를 넘지 않을 것.

다섯째. 지표 또는 수중에서 1m 간격의 임의의 2점간의 전위차가 5V를 넘지 아니할 것.

 

전기부식방지용 전원장치의 2차측 단자에서 부터 양극 피방식체 및 대지를 포함한 전기부식방지 회로의 배선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전기부식방지 회로의 전선중 가공으로 시설하는 부분은 저압 가공전선로 규정에 준하여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전선은 지름 2mm의 경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이상의 절연효력이 있는 것일 것.

둘째. 전기부식방지 회로의 전선과 저압 가공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는 전기부식방지 회로의 전선을 하단에 별개의 완금에 의하여 시설하고, 또한 저압 가공전선과의 이격거리는 0.3m 이상으로 할 것.

 

전기부식방지 회로의 전선 중 지중에시설하는 부분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전선은 공칭단면적 4.0㎟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것일 것. 다만, 양극에 부속하는 전선은 공칭단면적 2.5㎟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전선은 450/750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클로로프렌 외장 케이블, 비닐외장 케이블 또는 폴리에틸렌 외장 케이블일 것.

 

전선을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매설깊이는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차량 기타의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곳에서는 1m 이상, 기타의 곳에서는 0.3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전선을 돌, 콘크리트 등의 판이나 몰드로 전선의 위와 옆을 덮거나 합성수지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절연효력 및 강도를 가지는 관에 넣어 시설할 것.

둘째. 차량기타의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것에 매설깊이를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전선의 위를 견고한 판이나 몰드로 덮어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입상부분의 전선 중 깊이 0.6m 미만인 부분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고 또한 손상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적당한 방호장치를 할 것.

 

전기자동차 전원공급 설비의 저압 전로 시설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전용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각 극 (과전류 차단기는 다선식 전로의 중성극을 제외)에 시설하고 또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그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

둘째.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비포장 퓨즈는 불연성의 함의 내부에 시설하여야 한다.셋째. 옥내의 습기가 많은 곳 또는 물기가 많은 곳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배선기구에는 방습 장치를 하여야 한다.넷째. 저압 콘센트는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전기자동차의 충전 케이블 및 부속품의 시설은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충전장치와 전기자동차의 접속에는 연장코드를 사용하지 않을 것.

둘째. 충전케이블은 유연성이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충전전류를 흘릴 수 있는 충분한 굵기의 것일 것.

 

전기자동차 커플러 [충전 케이블과 전기자동차를 접속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충전 케이블에 부착된 커넥터와 전기자동차의 접속구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다음의 조건을 적용한다.

첫째. 다른 배선기구와 대체 불가능한 구조로서 극성이 구분이 되고 접지극이 있는 것일 것.

둘째. 접지극은 투입 시 제일 먼저 접속되고, 차단 시 제일 나중에 분리되는 구조일 것.

셋째. 의도하지 않은 부하의 차단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또는 탈부착을 위한 기계적 장치가 있는 것일 것.

넷째. 전기차동차 커넥터가 전기자동차 접속구로부터 분리될 떄 충전 케이블의 전원공급을 중단시키는 인터록 기능이 있는 것일 것.